 |
 |
오행 선체조는 토, 금, 수, 목, 화, 상화의 기운을 골고루 강화하여 오장육부를 튼튼하게 하는 건강 기(氣)체조입니다. 남녀노소 누구나 따라할 수 있도록 쉬운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되, 정확한 원리에 기반하여 효과가 강력합니다. (오행 선체조는 우리 조상들이 행해 왔던 도인법(導引法)을 수선재 명상지도사들이 현대화하고 체계화한 것입니다.)
|
 |
우리 몸에는 독특한 성질을 지닌 목, 화, 토, 금, 수, 상화의 여섯 기운이 흐르고 있는데 이를 ‘오행(五行)’이라고 부릅니다. 오행의 특징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오행 |
해당 장부 |
해당 신체 부위 |
부족할 때의 증상 |
토기(土氣) |
위장·비장 |
살, 무릎, 허벅지, 입, 복부 |
위장병, 소화가 안 되고 빈혈, 얼굴이 누렇게 변하고 볼이 움푹 패임 |
금기(金氣) |
폐·대장 |
피부, 손목, 하완, 코, 가슴부위 |
변비, 축농증 등 콧병. 얼굴이 하얘짐 |
수기(水氣) |
신장·방광·생식기 |
뼈, 골수, 발목, 정강이, 귀, 체모 |
요실금, 방광이 약함. 귀울림. 발목을 자주 삠, 얼굴이 검어짐 |
목기(木氣) |
간·담 |
근육, 힘줄, 고관절, 손, 발, 손톱, 발톱, 눈, 눈물, 목 |
간 질환, 근육 신축작용 이상, 시력 저하, 눈 밑과 얼굴이 푸르죽죽해짐 |
화기(火氣) |
심장·소장 |
피, 혈관, 팔꿈치, 상완, 혀, 얼굴, 땀 |
심장 질환, 혓바늘이나 혀 백태가 생김, 얼굴이 빨개짐 |
상화(相火) 기운 |
심포·삼초 |
신경, 임파선, 견관절, 어깨, 생명력, 저항력, 면역력, 마음 |
불안초조, 불면증, 만성피로 등 신경성 질환 |
|

- 절대로 무리하지 말고 천천히 부드럽게 합니다. 자신의 병이나 취약한 부위를 염두에 두고 자기 몸에 맞게 합니다.
- 동작을 빨리 하거나 많이 하는 것보다는 정확하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 호흡은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합니다.
- 좌측 동작을 먼저 하고 우측 동작을 나중에 합니다.
- (자기 몸을 밖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 동작을 먼저 하고 반시계 방향 동작을 나중에 합니다.
|
 |
대표적인 동작 21가지를 소개합니다.
|
 |
동작 |
- 양다리를 어깨넓이로 나란히 (11자로) 벌리고 선 자세에서
- 팔을 자연스럽게 늘어뜨리고 온 몸에 힘을 뺀 다음
- 가볍게 발뒤꿈치를 들었다 놓았다 한다. |
주의 |
- 온 몸의 힘을 뺀다.
- 발바닥 용천으로 온 몸의 탁기를 빼낸다고 강하게 의념한다. |
효과 |
- 상화(相火) 기운 강화 (심포, 삼초)
- 온 몸의 탁기가 배출된다.
- 몸의 기혈 순환을 촉진하고 관절을 풀어준다.
- 오장육부가 제자리를 찾아간다. |
|
|
 |
동작 |
- 양다리를 어깨넓이로 나란히 (11자로) 벌리고 선 자세에서
- 양팔을 수평으로 들었다가 뒤로 힘껏 뿌리기를 50회 정도 반복한다.
- 손가락 끝까지 기운이 뻗치도록 의식을 집중한다. |
효과 |
- 화(火) 기운 강화 (심장, 소장)
- 어깨의 관절을 풀어준다.
- 탁기가 배출되고 상체가 이완된다. |
|
|
 |
동작 |
- 발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양 팔은 축 늘어뜨린 채, 팔과 몸통을 좌우로 부드럽게 돌리면서 긴장을 풀어준다. 이 때 고개도 함께 돌린다.
- 호흡은 최대한 자연스럽게 한다. |
주의 |
- 몸의 어느 부분에도 힘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
효과 |
- 금(金), 수(水) 기운 강화 (폐장, 대장, 신장, 방광)
- 기혈 순환을 촉진한다.
- 긴장이 풀린다. |
|
|
 |
동작 |
- 양손을 자연스럽게 옆구리에 붙인 다음 목을 앞뒤로 숙였다 젖히기를 3회 반복한다.
- 왼쪽, 오른쪽으로 목 틀기를 3~5회 반복한다. |
주의 |
- 상체와 어깨에서 힘을 뺀다.
- 앞으로 숙일 때는 경추 밑 부분을 당기듯이 한다.
- 뒤로 젖힐 때는 목을 반듯이 하고 경추 밑 부분에 자극이 가도록 한다. |
효과 |
- 목(木), 화(火), 수(水) 기운 강화 (간, 담, 심장, 소장, 신장, 방광)
- 목뼈를 강화하고 목 근육의 뿌리를 풀어 주어 목의 피로와 혈압을 예방한다.
- 만성 두통이나 뇌질환에 효과적이다. |
|
|
 |
동작 |
- 앞뒤 목 운동과 같은 자세에서 (목을 꺾지 말고) 목을 눕히듯이 왼쪽, 오른쪽으로 젖힌다. 3~5회 반복한다.
- 목을 시계방향으로 크게 3~5회 돌리고, 반시계방향으로 크게 3~5회 돌린다. |
주의 |
- 눈동자도 목의 방향 쪽으로 크게 돌린다.
- 목 뿌리인 경추 밑부분까지 자극이 가도록 천천히 크게 돌린다. |
효과 |
- 목(木), 화(火), 수(水) 기운 강화 (간, 담, 심장, 소장, 신장, 방광)
- 목과 어깨 근육의 뿌리가 풀린다.
- 안구 근육도 풀린다. |
|
|
 |
동작 |
- 양 손끝을 어깨에 대고 팔꿈치를 앞으로 쭉 뻗은 후, 원을 그리듯이 뒤로 3~5회, 앞으로 3~5회 돌린다. |
주의 |
- 팔꿈치로 원을 최대한 크게 그린다. 팔꿈치가 위로 올라갈 때는 귀에 닿으면서 하늘에 닿는 기분으로, 뒤로 젖힐 때는 최대한 뒤로, 내릴 때는 아래로 당기듯이 한다.
- 힘을 최대한 빼고 하면 근육 긴장이 잘 풀린다. |
효과 |
- 화(火) 기운 강화 (심장, 소장)
- 오십견과 사십견이 풀린다.
- 어깨 결림과 팔 저림이 없어진다. |
|
|
 |
동작 |
- 양다리를 어깨넓이로 나란히 (11자로) 벌리고 선 자세에서
- 팔을 자연스럽게 늘어뜨리고 온 몸에 힘을 뺀 다음
- 용천으로 몸의 탁기를 배출한다는 느낌으로 가볍게 어깨를 들었다 놓았다 한다.
- 어깨를 천천히 최대한 올렸다가 내렸다를 반복해도 좋다. |
주의 |
- 힘을 최대한 빼고 하면 근육 긴장이 잘 풀린다. |
효과 |
- 화(火) 기운 강화 (심장, 소장)
- 오십견과 사십견이 풀어진다.
- 어깨 결림과 팔 저림이 없어진다. |
|
|
 |
동작 |
- 양 손을 옆구리에 대고 처음에는 작게 하다가 점점 크게 원을 그리면서 왼쪽으로 3~5회, 오른쪽으로 3~5회 부드럽게 돌린다. 단전을 중심으로 두고 아랫배에 허리띠를 두르듯 돌아가는 기운을 따라 돌린다.
- 단전 깊숙이 숨을 들이마시고 멈춘 상태에서 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
주의 |
- 무릎을 쭉 편 상태에서 돌려야 한다.
- 허리를 돌릴 때 발은 지면에 붙인다.
- 허리를 관찰하면서 허리가 최대한 돌려지는지 살핀다. |
효과 |
- 수(水) 기운 강화 (신장, 방광)
- 허리를 중심으로 경직된 근육을 풀어주고 유연성을 길러준다.
- 몸 전체의 기혈순환을 촉진한다. |
|
|
 |
동작 |
- 양다리를 어깨넓이로 나란히 (11자로) 벌리고 선 자세에서
- 가슴 앞에 양손을 가볍게 들고 손가락 쥐었다 펴기를 빠른 속도로 300회 정도 한다.
- 마치고 나면 양 손바닥을 마주보게 보여 손바닥 사이에 느껴지는 기운을 느껴본다.
- 가볍게 손목을 털어 준다.
- 점차 횟수를 늘려서 하루에 1천 번 이상 하면 좋다. |
주의 |
- 몸과 팔은 움직이지 말고 손가락만 쥐었다 폈다 한다.
- 의식은 단전에 둔다. |
효과 |
- 상화(相火) 기운 강화 (심포, 삼초)
- 생명력, 저항력, 면역력이 강해진다.
- 주먹을 쥘 때는 임맥, 펼 때는 독맥이 순환된다.
- 손바닥 장심혈이 열리면서 기감(氣感)이 발달한다.
- 단전에 기운이 모인다. |
|
|
 |
동작 |
- 양다리를 어깨넓이로 나란히 (11자로) 벌리고 선 자세에서 양손을 단전 앞에 가볍게 놓는다.
- 호흡과 함께 단전 부위를 200~300회 정도 앞뒤로 움직인다.
- 마치고 나면 단전을 중심으로 배를 시계방향으로 쓸어준다. |
주의 |
- 들숨 때는 내밀고 날숨 때는 넣는 동작을 호흡과 함께 정확하고 강하게 한다. |
효과 |
- 금(金) 기운 강화 (폐장, 대장)
- 아랫배에 기운을 모아 단전을 자리 잡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 단전이 강화된다. |
|
|
 |
동작 |
- 양다리를 어깨넓이로 나란히 (11자로) 벌리고 선 자세에서
- 앉았다 일어서기를 30회 정도 반복한다. |
주의 |
- 엉덩이가 장딴지에 닿을 정도로 앉는다.
- 뒤꿈치가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게 한다. |
효과 |
- 토(土) 기운 강화 (비장, 위장)
- 다리의 비경과 위경을 자극하여 비장, 위장을 강화한다. |
|
|
 |
동작 |
- 앉은 자세에서 양 발을 모아 앞으로 쭉 뻗고 발뒤꿈치를 붙인다.
- 양 손은 뒤로 하여 바닥을 짚는다.
- 다리와 발끝을 움직이며 서로 부딪혀 준다.
- 누운 채로 단전에 손을 올리고 해도 좋다. |
주의 |
- 반드시 무릎을 굽히지 않고 쭉 편 상태에서 해야 한다. |
효과 |
- 토(土) 기운 강화 (비장, 위장)
- 상기된 기운을 내려주고 하체의 기혈 순환을 촉진한다. |
|
|
 |
동작 |
- 양 발을 좌우로 넓게 벌린 상태에서
- 양 손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린 후
- 상체를 왼쪽으로 바짝 숙여 왼 발끝을 감싸 잡는다.
- 오른쪽으로도 같은 동작을 한다.
- 번갈아 가며 3회 정도 반복한다. |
주의 |
- 머리를 숙이지 않도록 한다.
- 무릎을 굽히지 않도록 한다. |
효과 |
- 수(水) 기운 강화 (신장, 방광)
- 골반을 펴주고 유연성을 길러주어 좌골신경통을 예방한다.
- 신장 기능을 자극하고 요통에 좋다.
- 목 부분의 근육과 뼈를 강하게 한다. |
|
|
 |
동작 |
- 앉은 자세에서 양 발바닥을 마주 보게 한다.
- 양 손으로 발가락을 움켜잡은 후 무릎을 상하로 흔들어준다.
- 발가락을 바짝 끌어안으면서 상체를 앞으로 숙인다.
- 세 번을 숙이는데, 첫 번째 숙일 때는 앞을 보고 숙이고, 두 번째 숙일 때는 고개를 왼쪽으로 틀면서 숙이고, 세 번째 숙일 때는 고개를 오른쪽으로 틀면서 숙인다. |
주의 |
- 허리를 편 상태에서 한다. |
효과 |
- 금(金), 수(水) 기운 강화 (폐, 대장, 신장, 방광)
- 단전의 힘을 길러준다.
- 척추를 곧게 펴주고, 목의 기능을 강화한다.
- 요통, 치질, 대장 질환에 좋다. |
|
|
 |
동작 |
- 양 손을 깍지 끼어 무릎을 바짝 끌어안는다.
- 상체를 뒤로 넘겨 어깨가 바닥에 닿도록 한다.
- 뒤로 넘어간 힘의 반동으로 앞으로 구른다.
- 5~10회 반복한다. |
주의 |
- 깍지 낀 손으로 무릎을 놓치면 안 된다.
- 허리를 최대한 둥글게 하여 척추 마디마디에 자극이 가도록 한다.
- 머리가 땅에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
효과 |
- 척추와 대추혈 등을 자극하여 오장육부의 기능이 원활해진다.
- 자율신경이 강화되어 신경쇠약, 위장병, 대장증후군 등이 좋아진다.
- 몸과 머리가 튼튼해진다. |
|
|
 |
동작 |
- 반듯하게 누워 숨을 고른다.
- 숨을 들이마시며 다리를 머리 뒤로 넘겨 바닥에 닿게 한다.
- 손바닥을 위로 한 채 양팔은 바닥에 놓는다.
- 5~10분 정도 한다. |
효과 |
- 척추와 목이 유연해진다.
- 뇌 척수 신경이 강화된다.
- 등 뒤, 어깨, 팔 근육이 강화된다. |
|
|
 |
동작 |
- 편안하게 누운 상태에서 양손을 가볍게 단전 위에 올려놓는다.
- 항문에 힘을 주면서 안으로 당겼다 풀어주기를 천천히 반복한다.
- 처음에는 50회 정도하다가 점차 횟수를 늘려서 한다. |
주의 |
- 겉으로 보아서 몸의 움직임이 없어야 한다. 집중하여 항문 근육만 움직이는 것이다. |
효과 |
- 금(金) 수(水) 기운 강화 (폐장, 대장, 신장, 방광)
- 기운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 신장 질환과 직장암을 예방한다.
- 치질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
|
|
 |
동작 |
- 와공 자세에서 숨을 들이쉬면서 배를 최대한 부풀린다.
- 숨을 멈추고 배 전체를 위 아래로 내밀었다 넣었다 한다.
- 빠르게 50회 정도 한 후 숨을 내쉰다.
- 3회 정도 한다. |
주의 |
- 아랫배와 윗배를 다 같이 내밀었다 넣었다 하며 떨어준다. |
효과 |
- 금(金) 기운 강화 (폐장, 대장)
- 장부를 자극하여 기능을 강화한다.
- 굳어진 장(腸)을 풀고 연동 운동을 촉진함으로써, 서서 생활하면서 생기는 장의 기능장애를 해소한다.
- 변비 해소, 숙변 제거, 소화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다. |
|
|
 |
동작 |
- 서혜부를 양 손바닥으로 가볍게 두드린다. 100회 정도.
- 배 부위는 배꼽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두드리면서 내장을 자극한다. 100회 정도.
- 오른쪽 손으로 왼쪽 겨드랑이를, 왼쪽 손으로 오른쪽 겨드랑이를 가볍게 두드린다. 100회 정도.
- 오른 손으로 왼쪽 가슴을, 왼 손으로 오른쪽 가슴을 두드린다. 100회 정도.
- 아래로 쓸어내린다.
- 머리를 좌우로 흔든다. 목과 양쪽 어깨를 풀어준다.
- 엎드린다. 이 때 머리를 들고 있기가 불편하면 눕혀도 되는데, 눕히기 불편한 쪽으로 돌리며 눕힌다.
- 백회를 양 손끝으로 톡톡 친다. 100회 정도.
- 옥침을 양 손끝으로 톡톡 친다. 100회 정도.
- 대추를 오른손 중지로 시계방향으로 문지른다. 100회 정도.
- 신장 부위를 손등으로 두드린다. 100회 정도.
- 선골을 왼 손바닥으로 두드린다. 100회 정도. |
주의 |
- 심장에서 먼 곳부터 두드린다.
- 몸을 사랑스럽게 보살피는 마음으로 두드린다.
- 너무 세게 두드리지 말고 시원한 느낌이 들 정도로 한다.
- 의식은 두드리는 부분에 둔다. |
효과 |
- 상화(相火) 기운 강화 (심포, 삼초)
- 두드리는 타법(打法)을 통해 신경세포를 강화하고 온 몸의 혈(穴)을 열어준다.
- 몸의 막힌 곳이 풀리고 정체되었던 기혈이 순환된다. |
|
|
 |
동작 |
- 엎드린 채로 등 뒤에서 양 손으로 양 발목을 잡는다.
- 손으로 발목을 당겨 배 부분만 바닥에 닿도록 들어올린다.
- 앞뒤로 흔들흔들 반동을 준다. |
효과 |
- 가벼운 디스크, 내장하수, 생리불순, 방광경 활성화, 자궁병, 소화력 증진, 비만, 알콜성 지방간 제거에 효과가 있다.
- 척추, 흉골, 늑골, 대퇴골 등이 강화되며 근육과 정동맥 신경이 원활해진다. |
|
|
 |
동작 |
- 바로 누워 팔과 다리를 곧게 위로 뻗어 올린다.
- 고개는 들고 허리는 바닥에 붙인다. 발바닥은 수평으로 한 채 양 발을 허리만큼 벌린다. 손바닥은 서로 마주 보게 한 채 어깨만큼 벌린다.
- 이 상태로 팔과 다리를 1분 정도 덜덜 떨어준다.
- 팔다리에 기운이 쫙 뻗치도록 ‘쿵 ’하고 바닥에 떨어뜨린다.
- 이렇게 떨어주고, 떨어뜨리는 동작을 3~5회 정도 반복한다. |
주의 |
- 힘을 뺀 상태에서 흔들어야 한다.
- 흔들 때 팔과 다리를 구부리지 않아야 한다.
- 1분 이상 하여야 효과가 있다. |
효과 |
- 상화(相火) 기운 강화 (심포, 삼초)
- 몸, 특히 손·발에 진동을 주어 모세혈관의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 나빠진 발을 교정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 고혈압, 심장병, 관절염에 좋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