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하나 되고, 알리는 삶>
농사를 짓는 어느 회원님이 ‘식물들의 사생활’이라는 제목으로 쓴 글을 보았습니다. 맞는 얘기입니다. 실제로 식물에게는 사생활이 있습니다. 그들 나름의 고충, 고난, 슬픔이 있습니다. 그걸 전달하려고 백방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늘도 바람, 구름, 폭풍우, 강렬한 햇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하늘의 마음을 표현합니다. 인간도 마찬가지여서 온갖 방법을 강구하여 자신의 마음을 알리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나 인간들은 이 모든 것들을 몰라줍니다. 자연의 마음을 몰라주고, 하늘의 마음을 몰라주고, 인간끼리도 서로의 마음을 몰라줍니다. 모를뿐더러 알려고도 하지 않습니다.
허나 仙인류의 삶은 달라야 한다고 봅니다.
하늘을 알고, 하늘과 하나가 되고, 하늘을 알리는 삶,
자연을 알고, 자연과 하나가 되고, 자연을 알리는 삶,
사람을 알고, 사람과 하나가 되고, 사람을 알리는 삶이어야 한다고 봅니다.
<관계 속에서의 아름다움>
얼마 전 수십 년간 연락을 끊고 있었던 옛 상사를 찾아뵈었습니다. 산속에서 부부가 외로운 삶을 이어가시더군요. 시종일관 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하며 살고 있는 자신의 삶을 자랑하고 계셨는데 제게는 왠지 공허함만이 가득 일렁이더군요.
‘자신이 별로 하는 일은 없지만 적어도 자연에 대하여 죄는 짓지 말고 살자’는 철학으로 버티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도시에서 사람들에게, 자연에게 죄를 짓고 사는 많은 사람들에 비하여는 훌륭한 삶이 분명하지만 자신들만을 위해서 사는 것은 어쩐지 아름다움도, 향기도 덜했습니다.
삶은 아름다워야 한다고 봅니다. 자신이 느낄 때도, 남들이 구경할 때도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면 다행이라고 하겠습니다. 수선재를 열고 仙서와 우주기운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내용도 결국은 아름다움이 아닐지요?
하늘과 인간,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관계 속에서의 아름다움….
아무리 자연이 아름답고 환경이 근사한 곳에서 사는 사람들도 그들의 말과 행동이 아름답지 않다면 전혀 의미가 없더군요. 수련장을 만들고, 안테나를 설치하고, 팔문원을 걸어놓아도 그곳에 사는 수선인들의 삶이 아름답지 않다면 사람들이 모이지 않을 것입니다. 향기가 없기 때문이지요.
아름다운 삶은 관계가 아름다울 때 발현됩니다. 같은 목적을 향하고 있는 천연인 도반과의 관계, 매일 얼굴을 마주하는 혈연인 가족 간의 관계, 또 가까운 이웃 간의 관계에서 맑고, 밝고, 따뜻한 나눔이 있을 때 피어나는 것입니다.
선인류의 삶과 수련 1권, 1부, 5장 中
Life of Knowing, Becoming One, and Disseminating
I read writing, 'the Private Lives of Plants' by a trainee who farmed himself. That is true. In fact, plants have private lives. They have their own difficulties, hardships, and sorrow. Furthermore, they are trying all means possible to express themselves.
Heaven also expresses its mind in various ways, such as winds, clouds, storms, intense sunlight, etc. Likewise, humans also make every effort to show their minds.
However, humans do not recognize all these things. They do not recognize the mind of nature, the mind of heaven, and even between humans, do not recognize the mind of each other. In addition to not recognizing, they do not even try to know them.
However, I consider that the life of Seon仙 humans should be different.
It should be a life:
where they know heaven, become one with heaven, and disseminate heaven;
where they know nature, become one with nature, and disseminate nature;
and where they know humans, become one with humans, and disseminate humans.
Beauty Among Relations
Recently I visited an old boss with whom I had severed contact for decades. The couple had a lonely life in the mountains. They frequently boasted about their life enjoying nature's beauty, but I sensed a wavering, full of emptiness.
He said that they were sustaining themselves with a philosophy that "although we do not do much, we shall at least live without committing sins against nature." Compared to the lives of people who commit sins against people and nature in cities, theirs were surely excellent but living only for their own sake didn't look so beautiful and fragrant.
I think that life should be beautiful. It would be lucky if your life is felt to be beautiful both when you perceive it and when other people see it. After all, it is intended that beauty be conveyed to people through Seon仙 celestial messages and the universe energy by founding Suseonjae, isn't it?
The beau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ven and humans,
between nature and humans,
between humans and humans…
No matter how beautiful nature, nor how good the environment people live in, it seems meaningless if their words and actions are not beautiful. Suseonjae trainees build a practice centre, set up an antenna, and hang a Palmunwon, but people won't gather there if Suseonjae people's lives are not beautiful. That is because there won't be a fragrance.
A beautiful life is unveiled when relationships are beautiful. It is what blossoms when there are purity, brightness, and warmth in the relationships with fellow trainees of heavenly ties who aim for the same goal, with family members of blood ties who face each other every day and with next-door neighbours.
From The Life and Practice of a Seon 仙 Human, Vol 1, Part 1, Chapter 5
(Translated and proofread by Seonseo D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