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야가 바뀌면 차원이 달라진다
끌어안지 못하는 이유는 편견 때문입니다. 정치하는 인간들 못 보겠다, 기업하는 인간들 못 봐 넘기겠다는 식으로 편 가르고 차별하는 생각이 많기 때문입니다.
같은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업신여기는 경우도 많더군요. 순수 문학하는 사람은 드라마 쓰는 사람을 우습게 알고, 대기업에 다니는 사람은 구멍가게를 우습게 여기고, 이렇게 편 가르는 마음이 있습니다. 그런 마음이 없을 때, 지게를 져도 그 사람의 귀함을 인정할 수 있을 때 비로소 편견이 없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시야가 바뀌면 벌써 사람을 보는 차원이 달라집니다. 단점만 크게 보이다가 ‘아, 저 사람은 내가 갖지 못한 저런 면을 갖고 있구나’, ‘저런 면을 높이 사서 활용하고 싶다’ 이렇게 됩니다. 시야가 180도 바뀐다고나 할까요?
만날 마음 맞는 사람하고만 어울려 다니면 뭐합니까? 배울 점은 이미 다 배웠고 취할 점은 다 취했습니다. 그 한계를 압니다. 그러면 이제 다른 사람들을 포용하고 어울려야 합니다.
타인의 입장에 서보면
우리는 그동안 받아온 교육이나 종교나 철학에 의해서 많이 채워진 상태입니다. 그런데 그런 데서 주장하는 주의나 이론이 사람을 자유롭게 하기보다는 어떤 개념을 자꾸 심어줌으로써 오히려 덧붙여주고 편견을 갖게 합니다. 그런 것들로부터 자신을 무장 해제시켜야 합니다. 오로지 본성(本性, 생명의 근본 자리)의 마음으로 보아야 합니다.
하늘은 음과 양, 선과 악, 밝음과 어둠을 다 가지고 있습니다. 양면성이 있습니다. 천둥벼락이 몰아치다가도 따뜻한 햇살을 보여줍니다. 낮에는 밤이 오리라는 생각을 못하는데 12시간도 못 돼서 밤이 옵니다. 한여름에는 더위가 영원히 지속될 것 같은데 조금만 지나면 찬바람이 붑니다. 그렇게 상반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내 기준이 다가 아니고 다른 기준이 같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수련을 하면 나만 알다가 점차 하늘을 알게 되고, 동시에 타인의 입장을 알게 됩니다. 나와 다른 사람도 많다는 걸 알게 되면서 타인의 입장에 서봅니다. 저 사람은 왜 저럴까? 저 사람의 어떤 면이 굉장히 싫은데 왜 저렇게 됐을까? 그 입장에 서보면 그 사람이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꼭 있습니다. 자라온 환경이 어떻다거나 부모님이 어떻다거나 하는 이런저런 이유 때문에 성격과 개성이 그렇게 형성된 것입니다. 그 사람은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겁니다. 만일 나보고 그 처지가 되어 보라고 하면 나도 똑같이 그렇게 할 겁니다.
인색한 사람을 보면 인색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 어려서부터 사랑을 못 받았다든가 물질적으로 시원찮게 받았다든가 하면 남에게 줄 줄 모릅니다. 악한 사람을 보면 악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 환경이 그랬기 때문에, 환경을 이길 만큼 본인의 의지가 굳지 못했기 때문에,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등등 이런저런 이유가 있습니다.
타인의 입장에 서보면 그렇게 ‘아, 그래서 그렇구나’ 하고 이해하는 마음이 생깁니다. 그것이 바로 하늘 단계의 마음이며 그 정도만 돼도 마음이 굉장히 많이 열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선인류의 삶과 수련 1권, 2부, 3장 중
Change your sight, and your dimension will change
Why you do not embrace others is because of your prejudice. That is because you have discriminating and dividing thoughts: "I don't want to see politicians." “I don’t bear businessmen.”
Also, many people look down on other people who work in the same fields as theirs. People who work in pure literature look down on people who write dramas. People who work at large companies look down on small stores. People have discriminating minds like this. When you do not have such a mind, when you can acknowledge the value of a labourer, it can be said that you no longer have prejudice.
Change your sight, and your dimension of seeing people will change. Instead of only looking at others’ faults, you will do, “Ah, the person has the aspect that I do not have,” “I value that aspect and want to make use of it.” Could it be said that your sight changes 180-degree?
What would it be the use of hanging out with only those who are like-minded with you? You have already learned things to learn and obtained things to obtain from them. You know the limitation. Then, you need to embrace and get along with other people from now on.
If you are in the other’s point of view
We are filled with education, religions or philosophies that we have gathered up until now. The beliefs and theories asserted by those areas do not make you accessible but repeatedly implant certain concepts on you; as a result, they add things to and bias you. Therefore, you need to disarm yourself of those things. You should look at things only with the mind of the original nature (bonseong, the foundation of life).
Heaven has yin and yang, good and evil, lightness and darkness. It has two sides It lightens and thunders but also shows warm sunshine. You do not think of the night coming during the daytime but, the night arrives before 12 hours. It seems that hot days would last forever in midsummer, but a cold wind blows shortly after. Like this, through showing the contrary faces, heaven teaches us that your standard is not everything, but there are other standards together.
You have cared about only you, but you gradually understand heaven and others’ standpoints at the same time as you do the practice. You try to see the others’ point of view as you understand that many people are different from you. “Why does that person act like that?”, “I really do not like that part of the person, and how come the person becomes like that?”
If you are at the other’s standpoint, you can see that there was the reason why they had no option but to become like that. His/her personality and individuality have developed in that way because of this and that reasons like that the environment where they have grown up was as such or their parents were as such. The person has no option but to do like that. If you are told to be in the position, you will do the same.
When you look at stingy people, they have reasons that they cannot help but be stingy. Those who were not loved or not fully given financial support since childhood do not know how to give to others. When you look at bad people, they have reasons for that they cannot help but be bad. They have such reasons, as their environments were so. They did not have a strong enough will to overcome such environments; because they did not have education, and so on.
When you stand at the other’s position, you can have the mind of “Oh, that is why the person acted that way.” That is the mind at the level of heaven. You can be said to have your mind open significantly even if your mind goes to that extent.
- From The Life and Practice of a Seon仙 Human Vol.1, Part 2, Chapter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