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련이란 무엇인가?
‘수련修鍊’이란 자신을 갈고 닦는 것입니다.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은 적당한 사람, 어딜 봐도 흠잡을 데가 없는 전인, 원만한 사람이 될 때까지 자신을 갈고 닦는 것이 수련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마음이 삐뚤어져 있습니다. 우선 남아도는 부분이 있습니다. 너무 많아서 스스로 주체를 못하는 부분인데 돈에 대한 욕심, 성욕, 애정에 대한 욕구, 명예욕 등등입니다. 발전의 욕구도 자신이 감당할 수 있으면 괜찮은데 자기 수준에 비해 너무 많이 지니고 있으면 욕심이 되어 버립니다. 부담이 되는 것입니다. 또 모자라서 한 맺힌 부분이 있습니다. 쏙 들어가서 비어 있는 부분입니다. 그런데 모자라는 부분은 밖에 있는 게 아닙니다. 내가 이미 다 가지고 있는데 치우쳐 있을 뿐입니다. 남는 부분을 쳐내어 모자라는 곳에 채워 넣으면 됩니다. 이렇게 해서 원만한 사람을 만드는 것이 수련입니다.
수련과 종교의 차이점은 이처럼 ‘갈고 닦는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종교는 ‘믿으면 천당 간다’는 식으로 내가 없이 믿는 것을 말합니다. 반면 수련은 내가 주체가 되어 스스로 갈고 닦는 것입니다. 종교는 믿음이 상실되면 갈 곳이 없습니다. 하지만 수련은 믿음이 상실됐다 하더라도 갈고 닦은 만큼은 자신의 것으로 남습니다.
세상에는 기공이니 묵상이니 하는 이런저런 수련법들이 많습니다. 仙계수련이 그러한 여타의 수련법과 다른 점은 깨달음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仙계수련은 깨달음으로 가는 수련인 것입니다.
깨닫는다는 것은 ‘안다’는 것입니다. 알되 그냥 아는 것이 아니라 하단에서부터 축적되어 아는 것입니다. 하단의 의지, 중단의 사랑이 갖춰진 상태에서 상단의 지혜의 눈이 열려야 비로소 깨달음이라고 합니다.
깨달음으로 가는 길은 머나먼 길입니다. 도道라는 말에 ‘간다’라는 뜻이 있다고 했는데 앉아서 수백, 수천억 광년을 가는 것이 깨달음으로 가는 수련입니다.
仙계수련에서는 견성 즉, 본성本性을 만나는 것은 수련의 입학일 뿐이라고 얘기합니다. 타 수련에서는 견성이 수련의 끝인 줄 아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견성하고 나면 더 이상 공부를 안 하고 남을 가르치려고 듭니다. 하지만 仙계수련에서는 본성을 만나는 것은 이제 겨우 수련의 입새에 든 것이라고 얘기합니다. 견성하고 나면 본성과 합일되는 과정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10%, 20%, 30%… 100% 합일이 되어 조물주의 반열에 오르는 것을 목표로 끊임없이 갈고 닦는 수련이 仙계수련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선仙인류의 삶과 수련 1, 3부, 1장 중
What is Practice?
Practice" is to cultivate and polish oneself. It is a practice to cultivate oneself until one becomes an adequate person who is neither overflowing nor lacking and a whole and well-rounded person who is faultless in every respect.
Most people have crooked minds. First of all, people have superabundant parts. Those are the parts that are too much to cope with, such as greed for money, sexual desire, desire for love, desire for fame, etc. As for the desire for development, it is good if one can cope with that, but if one has far more of that than one's level, the desire only becomes greed. That becomes a burden. Also, there are the parts that were so wanting and became deep sorrow. The parts are dented and hollowed. However, the wanting parts are not outside. One has already got all of them, but they are distributed in a biased way. One can cut out one's overflowing parts and fill out the wanting parts with them. It is the practice that makes one a rounded person in this way.
Like this, the difference between practice and religion lies in that one cultivates and polishes oneself". A religion means believing while there is not oneself in a way like Believe and you will go to heaven." On the other hand, practice is to cultivate and polish while one takes the initiative. As for religion, if one loses faith, one has no place to go. In contrast, as for practice, the extent to which one has cultivated and polished remains one's own even though one loses faith.
Various practice methods such as chi gong and meditations exist around the world. What makes Seongye Practice unique from the other practice methods is that it aims enlightenment. Seon仙gye practice is a practice where one goes to enlightenment.
Being enlightened means "knowing." This knowing is not "just knowing" but the knowing that has accumulated from the lower danjeon. It can be only called enlightenment when the eye of wisdom of the upper danjeon has been opened while the will of lower danjeon and the love of middle danjeon have been fulfilled.
The way to enlightenment is a long journey. Once I said that doh(the way) has the meaning of "going". It is the practice of enlightenment that you can move the distance of tens or hundreds of billions of light-years through sitting.
In Seongye Practice, the meeting of Original Nature is regarded merely as the entrance of the practice. In some other practices, meeting with the original nature (gyeongseong) is recognised as the end of their practice. So those who achieve the meeting with the original nature try to teach others without doing practice anymore. However, in Seon仙gye Practice, seeing your original nature is said to be just entering the entrance of practice. That is because after meeting with the Original Nature, the process of being unified with the universe still remains. Therefore, it is Seongye Practice to cultivate and polish yourself continually, aiming to be one with the universe by 10%, 20%, 30%, and 100%.
- From The Life and Practice of a Seon仙 Human Vol. 1, Part3, Ch1